SpringBoot (17)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Boot - JPA 이해 1. JPA(Java Persistence API) 란? JPA(Java Persistence API)는 객체 관계 매핑(Object-Relational Mapping) 기술로, Java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간의 매핑을 자동으로 처리해준다. Spring Boot JPA는 Spring Boot와 JPA를 함께 사용하여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Spring Boot JPA를 사용하면 Java 개발자는 SQL 쿼리를 작성하는 대신 Java 코드로 데이터를 저장, 조회,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더 적은 양의 코드로 더 빠르게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다. 2. 동작 원리 Spring Boot JPA를 사용하면 Entity 클래스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매핑할 수 있다. .. SpringBoot - @Slf4j 이해 1. 로그 레벨 로그 레벨(Log Level)은 로그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각각의 레벨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1) TRACE 가장 상세한 로그 레벨로, 디버깅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모든 로그를 출력한다. (2) DEBUG 개발 단계에서 디버깅 용도로 사용된다. TRACE 레벨보다는 적은 양의 로그를 출력한다. (3) INFO 프로그램의 실행 정보를 나타내는 레벨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상태 정보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출력한다. (4) WARN 경고성 메시지를 나타내는 레벨이다. 일반적으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5) ERROR 에러 메시지를 나타내는 레벨이다. 일반적으로 예상치 못한 에러나 예외가 .. SpringBoot - @Autowired 이해 1. 정의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Autowired**는 객체 의존성을 자동으로 주입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노테이션이다. 스프링의 IoC (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는 빈(Bean)을 관리하고 런타임 시에 객체들 간의 의존성을 관리하는데, **@Autowired**는 이러한 의존성을 자동으로 해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Autowired**를 사용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해당 타입의 빈을 찾아서 자동으로 필드, 생성자, 메서드의 매개변수 등에 해당 빈을 주입해준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빈들 간의 의존성을 직접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 컨테이너에게 의존성 관리를 위임할 수 있다. 2. 특징 @Autowired에 연결된 변수의 클래스가 @Component가 달린 클래스인 .. SpringBoot - @RequestMapping 활용 1. 용도 HTTP 요청 URL과 특정 메서드를 매핑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 요청 URL을 매핑하는 것 외에도, HTTP 요청 방식(GET, POST 등)에 따라 매핑할 메서드를 선택할 수 있다. 2. RequsetMapping 이용 package test.day02.controlle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ethod; import org.springframew.. SpringBoot - @Controller, @RestController 비교 @Controller, @RestController 비교 1. 기능 RESTful 웹 서비스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컨트롤러 역할을 하는 클래스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 Controller는 @ResponseBody를 이용하여 Return값을 받아야하지만, RestController에는 @ResponseBody가 내재되어 있어 Controller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Controller package test.day02.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 Spirngboot - @Repository 기능 1. 정의 스프링 어노테이션 Repository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데이터 액세스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이다. Repository는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추상화하고, 개발자가 데이터 액세스 코드를 간편하게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스프링 어노테이션 Repository는 스프링 데이터 JPA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스프링 데이터 JPA는 JPA(Java Persistence API)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모듈이다. Repository는 스프링 데이터 JPA에서 엔티티(Entity)에 대한 데이터 액세스를 처리하는 인터페이스로 사용된다. Repository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로 정의되며, 스프링에 의해 런타임 시에 구현체가 자동으.. SpringBoot - @ComponentScan 이해 1. 기능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컴포넌트 스캔(Component Scan)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 컴포넌트 스캔(Component Scan)은 스프링이 빈으로 등록할 클래스를 찾아서 자동으로 빈으로 등록해주는 기능이다. 보통 @Controller, @Rest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Configuration, @Component, @Bean와 같은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찾아서 빈으로 등록한다. @ComponentSca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어느 패키지부터 컴포넌트 스캔을 수행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다. 2. 코드로 보는 예시 @Configuration @ComponentScan("com.example.demo") public class AppCo.. SpringBoot - 주요 어노테이션 1. 어노테이션(annotation)이란? 스프링부트(Spring Boot)에서는 어노테이션(annotation)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고, 관리한다.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면 빠르고 간편하게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할 수 있다. 2. 주요 어노테이션 1) @ComponentScan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컴포넌트 스캔(Component Scan)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 컴포넌트 스캔(Component Scan)은 스프링이 빈으로 등록할 클래스를 찾아서 자동으로 빈으로 등록해주는 기능이다. 보통 @Controller, @Rest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Configuration, @Component, @Bean 와 같은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찾아서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