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1. 로드 밸런싱이란? 로드 밸런싱은 네트워크 및 서버 부하 분산을 위한 기술로, 여러 대상 서버 간에 트래픽을 균형있게 분배하여 가용성을 향상시키고 성능을 최적화한다. 로드 밸런서는 사용자 요청을 적절한 서버로 라우팅하고, 각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장애 시에 트래픽을 다른 서버로 전환한다. 이는 웹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된다. 2. 로드 밸런싱 방법 1) L4 Load Balancing L4 스위치는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며, TCP 및 UDP 포트 수준에서 트래픽을 관리한다. L4 스위치는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트래픽(서버부하)을 분산하고, 기본적인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라운드 로빈, 가중치 등)을 제공한다. L4 스위치는 응용 계층의 .. OSI 7 계층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Layer) 1. OSI 7계층이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통신 시스템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념적인 프레임워크이다. 이 모델은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고 다른 계층과 상호 작용한다. 2. 7계층 구성요소 3-1. 상세 보기: 물리 계층(Physical Layer) 1) 정의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에서 가장 하위에 위치하며,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하드웨어와 전송 매체를 다루는 계층이다. 이 계층은 데이터 비트(0과 1)를 전기 신호, 광 신호 또는 무선 파장과 같은 물리적인 형태로 변.. 이전 1 다음